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COVID-19 in a 16-Year-Old Adolescent With Mucopolysaccharidosis Type II: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Metadata Downloads
Author(s)
So Yun ParkHeung Sik KimMi Ae ChuMyeong-Hee ChungSeokjin Kang
Keimyung Author(s)
Kim, Heung SikChu, Mi AeKang, Seok Jin
Department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Journal Title
Pediatr Infect Vaccine
Issued Date
2022
Volume
29
Issue
2
Keyword
COVID-19Mucopolysaccharidosis IIHeparan sulfate
Abstrac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is associated with high infection and mortality rates, which may result i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death. Mucopolysaccharidosis (MPS) type II is a progressive metabolic disorder that stems from cellular accumulation of the glycosaminoglycans, heparan, and dermatan sulfate. Upper and lower airway obstruction and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s are common complaints of patients with MPS, and respiratory infections of bacterial or viral origin could result in fatal outcomes. We report a case of COVID-19 in a 16-year-old adolescent with MPS type II, who had been treated with idursulfase since 5 years of age. Prior to infection, the patient’s clinical history included developmental delays, abdominal distension, snoring, and facial dysmorphism. His primary complaints at the time of admission included rhinorrhea, cough, and sputum without fever or increased oxygen demand. Hi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were within the normal biological reference intervals, and chest radiography revealed no signs of pneumonia. Consequently, supportive therapy and quarantine were recommended. The patient experienced an uneventful course of COVID-19 despite underlying MPS type II, which may be the result of an unfavorable host cell environment and changes in expression patterns of proteins involved in interactions with viral proteins. Moreover, elevated serum heparan sulfate in patients with MPS may compete with cell surface heparan sulfate, which is essential for successful interaction between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spike protein and the host cell surface, thereby protecting against intracellular penetration by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의 임상 양상은 무증상부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점액 다당류증(mucopolysaccharidosis) 2형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라이칸(glycosaminoglycan)의 일종인 헤파란 황산염(heparan sulfate)과 더마탄 황산염(dermatan sulfate)의 분해를 촉매하는 효소 결핍에 의해 상기 물질이 리소좀(lysosome)에 축적되는 질환으로 전신 침범, 특히 호흡기침범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은 예후에 치명적일 수 있다. 현재 점액 다당류증 환자에서 제 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 후의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고, 이에 점액 다당류증 2형으로 효소대체요법을 받고 있던 환자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 후의 임상 양상에 대해 보고하고 관련 문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16세 남아로 가족간 전파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발생하였다. 콧물,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이 관찰되었다. 발열이나 산소요구도 증가는 없었으며 심박수, 호흡수, 산소 포화도는 정상 범위였고 혈액검사결과에서 백혈구 감소증이 관찰되었다.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폐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보존적 치료와 격리만으로 증상이 호전되었다. 경미한 임상 양상의 원인으로 전구 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바이러스에게 불리한 숙주의 세포 환경, 바이러스와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발현의 특정방향으로의 변화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점액 다당류증 환자에서 증가된 혈청 헤파란 황산염이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과 숙주 세포의 상호작용에 필수적인 세포 표면의 헤파란 황산염과 경쟁하여 SARS-CoV-2의 세포 내 침투로부터 보호한다는 가설도 있다. 향후 더 많은 사례를 통해 점액 다당류증 등의 리소좀 축적질환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imyung Author(s)(Kor)
김흥식
추미애
강석진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Type
Article
ISSN
2384-1087
Source
https://piv.or.kr/DOIx.php?id=10.14776/piv.2022.29.e7
DOI
10.14776/piv.2022.29.e7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447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