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성인 여성의 가임력 지식 측정 도구 개발

Metadata Downloads
Author(s)
윤선정
Issued Date
2024-0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의 가임력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DeVellis (2017)의 8단계 도구 개발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1단계 도구의 구성 요인에서 가임력에 대한 문헌고찰과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속성을 확인 후 종합 분석하고 74문항을 개발하였다. 2단계 예비 문항 작성에서 74문항에 대해 간호학과 교수 1인과 문항 검토하여 4개 요인과 48개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3단계 도구의 척도 결정에서 4점 Likert 척도를 선정하였고 4단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정에서 임상 현장에서 근무중인 산부인과 의사 10명, 여성건강 상담 간호사 5명, 여성건강간호학 교수5명으로 총 20명의 전문가들에게 2차례에 걸쳐 내용타당도 검정을 시행하였다. 5단계 문항 검토 및 예비조사에서 국문 전문가에게 어휘와 표현 및 문법의 정확성을 검토 받은 후 40명의 성인 여성들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6단계 도구 적용과 7단계 도구 평가 및 검정에서 2차례의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 본조사는 48개의 문항으로 성인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 후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문항이 확인되었다. 2차 본조사는 최종 18개의 문항으로 성인 여성 250명을 대상으로 시행 후 문항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정하고 표준점수를 제시하였다. 표준점수는 18~72점의 점수 범위를 가지며, 각 문항의 점수를 더하여 총점을 계산하고, 42점 이하는 ‘지식이 낮은 수준’, 43점부터 56점까지는 ‘지식이 중간 수준’, 57점부터 만점인 72점까지는‘지식이 높은 수준’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반분 신뢰도를 검정하여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에서 Cronbach’s α는 .926으로 나타났다. 반분 신뢰도는 홀수번 부분 Cronbach's α .87, 짝수번 부분Cronbach's α .87으로 높게 나타나났으며, pearman-Brown 계수 .89, Guttman 반분계수 .89으로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 각각의 항목이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음이 검정되어 측정 도구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이 모든 검정과정을 통해 8단계 도구 확정에서 성인 여성의 가임력 지식 측정도구의 사용 지침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인 여성의 가임력 지식 측정 도구는 성인 여성의 가임력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잘못된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능력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가임력 지식 교육을 제공하는 근거가 되며, 체계적인 지식 교육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임력 지식 측정 도구는 생물학적, 심리성적, 자기조절성, 가치지향성의 다면적으로 개발하여 종합적인 여성 건강 연구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가족계획과 임신 계획에도 필수이므로 여성 스스로 생식건강을 평가하고 관리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족계획에 도움을 줄 수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fertility knowledge in adult women. The research methodology followed the 8-step guidelines for instrument development outlined by DeVellis (2017). In the first step, the components of the instrument were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the fertility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s. After confirming the attribute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74 items were developed. In the second step of preliminary item generation, 74 items were reviewed by a nursing professor, forming four factors and the creation of 48 preliminary items. In the third step, a 4-point Likert scale was chosen to measure the instrument. In the fourth step, content validity was tested with a panel of experts. A total of 20 experts, including ten obstetrician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five nurses working in women's health counseling, and five professors specializing in women's health nursing, participated in two rounds of content validity testing. In the fifth step, Korean language experts checked the items for vocabulary and grammatical accuracy, and after tha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40 adult women. The instrument was applied in the sixth step, and two primary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seventh. The first primary survey comprised 48 items and was administered to 300 adult women. Subsequently, an analysi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ing in 18 validated items. The second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a final set of 18 items aimed at 250 adult women. Item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and standard scores were reported. The standard scores ranged from 18 to 72 points. The total score was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each item. Scores below 42 were interpreted as 'low knowledge,' scores between 43 and 56 as 'moderate knowledge', and scores between 57 and 72 as 'high knowledge’. Furthermor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were also analysed. A Cronbach’s alpha of .926 was deter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 split-half reliability showed high values with Cronbach's α of .87 for the odd-numbered items and .87 for the even-numbered items. The Spearman-Brown coefficient was .89 and the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as .89, indicating a high correlation and confirming that each item represents the same concept. This testing procedure ensured the homogeneity of the measurement. All these validation procedures established the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developed instrument to measure adult women’s fertility knowledge when finalizing the 8-step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the developed instrument for measuring fertility knowledge in adult women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ability of adult women to critically evaluate accurate information about fertility and distinguish it from misinformation.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fertility knowledge education and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knowledge education system. The fertility knowledge measurement tool is developed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encompassing biological, psychological, self-regulatory, and values-oriented aspects, facilitating comprehensive research outcomes on women's health. Given its essential role in family planning and pregnancy, this tool can empower women to assess and manage their reproductive health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amily planning.
Alternative Title
Fertility Knowledge Assessment Scale for Adult Women
Awarded Date
2024-02
Degree
박사
Type
Thesis
Source
http://www.dcollection.net/handler/kmu/000000121636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5617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