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 간호성찰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Author(s)
- 황유진
- Issued Date
- 2024-02
- Abstract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간호성찰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 연구로 2023년 9월 11일부터 2023년 9월 2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4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176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수준은 5점 만점에 3.7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3.56, p=.030)과 자녀유무(t=2.80, p=.006), 최종 학력(t=-2.35, p=.020), 총 근무 경력(F=3.75, p=.012), 급여(F=5.06, p=.007), 직급(t=-2.53, p=.012), 주관적 직무만족도(F=3.24,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업무성과는 일과 삶의 균형(r=0.17, p=.026), 간호성찰(r=0.6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행위 검토 및 분석(β=0.30, p<.001), 발전 지향적 숙고(β=0.24, p=.002), 객관적 자각(β=0.23, p=.001), 총 근무 경력(β=0.20, p=.001), 일-성장 균형(β=0.16,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9.0%였다.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 간호성찰이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일-성장 균형과 간호성찰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조직 문화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nursing-reflection and nurse performanc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1 to September 21, 2023. Convenience sampling is used in selecting 176 nurses from four tertiary hospital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7.0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nurse performance was 3.73 out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e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F=3.56, p=.030), children (t=2.80, p=.006), education level (t=-2.35, p=.020), total working period (F=3.75, p=.012), monthly income (F=5.06, p=.007), position (t=-2.53, p=.012) and subjective work satisfaction (F=3.24, p=.042).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ork-life balance (r=0.17, p=.026) and nursing-reflection (r=0.67, p<.001).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urse performance were review and analysis of nursing behavior (β=0.30, p<.001), development-oriented deliberative engagement (β=0.24, p=.002), objective self-awareness (β=0.23, p=.001), total working period (β=0.20, p=.001) and harmony of work-growth (β=0.16, p=.00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9.0%. This study majorl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measures to improve nurse performanc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nursing-reflection. To improve nurse performanc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and organize culture that can increase work-life balance and nursing-reflection on this study.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