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섬망간호 스트레스 영향 요인 비교
- Author(s)
- 권수민, 김가은
- Keimyung Author(s)
- Kim, Ga Eun
- Department
- Dept. of Nursing (간호학)
- Journal Title
- 간호행정학회지
- Issued Date
- 2024
- Volume
- 30
- Issue
- 5
- Keyword
- 간호; 섬망; 스트레스; 업무환경; Nursing care; Delirium; Stress; Working conditions
- Abstract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lirium nursing stres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Method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urses working in two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7.0.
Results:
The average delirium nursing stress score for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as 2.98±0.30 out of 4 point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2.89±0.29 points for nurses in general wards (t=2.17, p=.031). Factors influencing delirium nursing stres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included nursing work environment (β=-.58, p<.001) and conflicts with medical staff and other departments related to delirium patients (β=.24, p=.006), explaining power of 44% (F=12.13, p<.001). For general ward nurses, the nursing work environment(β=-.39, p<.001) was the main influencing factor, explaining power of 17% (F=3.93, p<.001).
Conclusion:
Both types of nurses require improvements in their work environment. Strategies to reduce conflict between medical staff and other departments are essential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섬망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D 광역시에 소재한 2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15명, 일반병동 간호사 115명, 총 230명의 간호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섬망간호 스트레스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경우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98 ± 0.30점,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2.89 ± 0.29점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t=2.17, p=.03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섬망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환경(β=-.58, p<.001), 최근 1개월 동안 섬망환자와 관련한 의료진 및 타 부서와의 갈등 경험 횟수(β=.24, p=.006)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44%이었다(F=12.13, p<.001). 일반병동 간호사의 섬망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환경(β=-.39, p<.001)이었고 설명력은 약 17%이었다(F=3.93 p<.001).
결론:
간호사의 섬망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모두 업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는 의료진 및 다른 부서와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전략도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하는 반복 연구와 맞춤형 섬망 간호 지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